2000년대 초 영일만항의 건설 당시부터 집중적으로 거론되던 ‘환동해 경제권’이 남북,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집중 조명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북한과 가까운 강원도는 물론, 울산광역시와 부산광역시 등 자치단체들이 지역 산업을 기반으로 한 물류와 교역 확대를 위해 발 빠르게 대비하고 있다.

‘환동해 경제권’은 동해를 끼고 있는 남북한과 일본, 중국 동북부, 극동 러시아를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는다는 구상이다. 한국과 일본의 기술력과 자본, 국동러시아의 풍부한 지하자원, 중국 북동부와 북한의 노동력을 결합할 경우 EU나 NAFTA에 필적하는 동북아시아의 경제블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처럼 미래 블루오션인 ‘환동해 경제권’의 북방교류 협력을 위한 경북도의 대응이 다른 광역자치단체에 비해 크게 미흡하다. 각 자치단체들의 행정 체제만 봐도 그 실상을 알 수 있다. 경북도가 환동해 관련 업무를 ‘담당’이 맡는데 비해 강원도와 경기도,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등은 한 단계 높은 ‘과(課)’ 단위로 편성하고 있다.

이들 광역자치단체들은 환동해 지역 업무를 일본, 러시아 등 환동해 지역을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에 비해 경북도의 ‘환동해지역본부’는 이름만 거창하게 ‘환동해’라 붙였지만 실속을 그렇지 못하다. 환동해지역본부가 그저 포항과 경주 등 동해안 지역 행정업무에 국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강원도는 글로벌통상국에 중국통상과는 물론 일본·구미(러시아) 통상과를 따로 두고 있다. 또 균형발전과 남북교류협력 태스크포스팀을 운영하고 있다. 경기도도 행정2부지사 체제에 중국과 러시아, 일본 등 국제교류 업무를 담당하는 외교정책과를 두고 있다. 균형발전기획실에는 통일기반조성담당관과 DMZ 정책담당관을 따로 두고 있다. 울산광역시도 국제교류를 담당하는 통상교류과를 두고 있고 인천광역시 역시 국제협력담당관과 중국협력담당관을 두고 북방 경협에 대비하고 있다.

경북도도 직제를 개편, 조직을 재정비해 북방교역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포항에서 업무를 시작한 환동해지역본부의 기능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 경북도청의 ‘관광진흥과 중화권 마케팅 담당’과 ‘국제통상과 국제교류담당, 국제협력담당’, ‘미래전략기획단 사회문화전략담당(남북교류기금)’ 등 부서를 환동해지역본부로 이전·통합해 글로벌 행정조직으로 확대 개편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또 환동해 지역을 비롯한 국제 관련 부서의 환동해지역본부 이전·통합과 함께 다른 자치단체처럼 직제를 한 단계 높여 ‘과’(課) 단위로 운영해야 업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마디로 환동해지역본부의 기능을 실질적으로 대폭 강화, 경북도 제2청사화 해서 환동해 경제권 시대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