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낙동강을 중심으로 발생한 녹조를 완화하기 위해 오는 10월께 4대강 보(洑) 수문 개방을 밀어붙일 태세다. 낙동강에 놓인 8개 보 가운데 대규모 취수장이 없는 낙단보와 구미보를 먼저 개방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들 보 주변 농민의 반발이 드세다. 녹조로 먹는 물에 녹조의 독성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지만 가둬 놓은 물에 의존해 논밭에 물을 대는 농민들은 농업용수 확보는 물론 자칫 영농에 차질을 빚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올해는 특히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 데다 만성적인 가뭄이 있던 지역민들은 환경단체가 보 개방 운운할 때마다 마음이 타 들어간다. 4대강의 보를 전 정권이 만들어 놓은 적폐의 상징물처럼 인식해 수문을 완전히 개방하자거나 심지어 수조 원을 들여 만든 보를 헐어버리자는 반 경제적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낙동강의 보는 상당한 긍정적 효과를 보이고 있다. 구미보나 낙단보 등 보를 막은 이후 만성적 가뭄이 해소됐을 뿐 아니라 연례적이던 홍수도 없어졌다. 모기와 날벌레들이 판치던 강에 보가 설치돼 관광 인프라로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보를 건설하기 전에는 가뭄이 들면 관정을 뚫어도 물을 끌어올리기가 어려웠는데 4대강 사업 이후 지하수를 개발해 이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어졌다.

낙동강 강정 고령보와 달성보도 고령 성주지역 농업용수 공급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올해 같은 장기 가뭄과 폭염에도 인근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데 전혀 어려움이 없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지역민들은 보가 가뭄 해소나 홍수 방지 등 치수 효과는 물론 관광 자원으로 지방 세수 확보에도 큰 도움이 있다는 주장이다. 이 때문에 낙동강 보의 수문 개방은 이제 인근 농민과 지역민의 생존권이 달린 문제가 된 것이다.

경북지역만해도 상주보와 낙단보, 구미보, 칠곡보, 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등 7개 보를 통해 수자원 양수시설 72개를 활용해 용수를 사용하고 있다. 경북도는 이들 양수시설로 지역의 1만2529㏊가 혜택을 누리고 있다고 밝혔다. 경북의 논농사 면적이 12만5846㏊ 정도 되는데 이 중 10% 정도가 낙동강 보의 혜택을 누리고 있는 셈이다.

정부가 16일 세종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 ‘가뭄 녹조 대응’을 한다며 4대강 보를 개방하겠다고 밝혔다. 보를 개방해 물을 흘려보내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 4대강에 녹조가 심화돼 먹는 물에 독성물질이 검출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는데 무조건 보의 물을 흘려 보낼 것이 아니라 심층 취수나 취 정수의 고도화 등으로 해결하는 방안을 먼저 모색해야 할 것이다. 또 매년 반복되는 녹조를 두고 볼 것이 아니라 녹조 발생을 근원적으로 막을 방안부터 모색해야 한다. 아까운 물을 흘려보내고 보를 헐어버리기보다 수질 개선노력이 우선돼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