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효상 의원, 대구지방환경청 상대로 문제점 질타
"정상 가동됐더라면 대구 수돗물 사태 막을 수 있었어"

나정균 한강유역환경청장(왼쪽부터), 신진수 낙동강유역환경청장, 김동진 금강유역환경청장, 최종원 영산강유역환경청장, 김동구 수도권대기환경청장, 박연재 원주지방환경청장이 1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의 한강유역환경청 등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의를 듣고 있다.연합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강효상 의원(자유한국당)은 18일 국회에서 열린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정경윤 대구지방환경청장을 상대로 구미산단 화학물질 통합관리시스템의 문제점을 자세히 파헤쳤다.

강 의원에 따르면 지난 2013년 10월 16일, 당시 대구지방환경청(청장 최흥진)과 구미상공회의소(회장 김용창), 대구녹색환경지원센터(센터장 정응호)는 구미지역 화학사고 예방 및 대응 강화를 위해 구미산단 ‘화학물질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2012년 구미 불산 누출사고를 비롯한 유해화학물질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자 당시 4억1000만 원의 사업비를 들여 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있는 구미산단 유해화학물질통합관리시스템을 만든 것이다. 국내 최초로 화학물질 취급시설을 3차원 지도로 구현해 대구지방환경청과 구미상공회의소가 평시에 화학물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사고 시 효율적인 피해방지 및 대응에 필요한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돼 있다.

그러나 강 의원은 현재 이 협약과 시스템이 무용지물임을 지적하고, 정상적으로 가동됐더라면 지난 5월 발생한 대구 수돗물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강력히 질타했다. 당시 낙동강수계에서 검출된 기준치 이상의 과불화헥산술폰산(PFHxS)이 구미하수처리구역에서 배출된 것으로 확인됐는데 과불화화합물 사용업체와 배출량 파악을 시스템상에서 조기 확인하고 이후 저감 조치까지 빠르게 처리가 가능했을 것이라는 게 강 의원의 분석이다.

강 의원은 시스템 가동 여부 확인을 위해 홈페이지에 접속해봤지만, 2015년 초 이후 그대로 방치돼 사실상 사장(死藏)된 수준이었다고 말했다. 구미상공회의소는 현재까지도 월 10만 원씩 인터넷 사용료를 꼬박꼬박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 의원은 “청장이 엄연히 협약에 사인까지 하고 정부 3.0의 민·관 협치에 부합하는 전형적인 사례가 될 것이라며 보도자료까지 내고 자화자찬을 했던 사업이 결국 보여주기식 쇼로 끝났다”고 지적하며 대구지방환경청의 직무유기를 강하게 질타했다.

강효상 의원실이 담당 부서에 확인해본 결과, 당시 관련 직원은 한 명도 남아있지 않았고 인수인계도 돼 있지 않아 관련 부서조차 내용 파악을 제대로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대구지방환경청은 강 의원의 문제 제기가 시작되자 오는 25일 전문가 및 사업자 합동회의를 갖고 향후 대책을 논의하겠다고 밝혀온 상태다.

이에 정 청장은 “강 의원의 지적을 유념해 10월 25일 회의에서 시스템 개선 및 활용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 의원실로 보고하겠다”고 답변했다.

이기동 기자
이기동 기자 leekd@kyongbuk.com

서울취재본부장. 대통령실, 국회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