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경희 대구경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 공공판로지원과장
생계형 창업, 과밀화, 비용 증가, 양극화 등 구조적 요인과 대형화, 정보화, 세계화 등 외부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자영업자들이 힘들어지는 상황에 현 정부에서는 5차례 대책을 발표했다. 눈에 띄는 것은 최신 핀테크 기술이 적용된 소상공인을 위한 간편결제 시스템 ‘제로페이’다.

제로페이란 소상공인들의 카드수수료를 부담을 완화시켜 이익을 높여주기 위해 정부에서 추진하는 모바일 간편결제 시스템으로 연매출액 8억 원 이하 소상공인의 결제 수수료는 없다.

하지만 최근 제로페이 관련 기사들은 긍정적인 내용보다 부정적인 경우가 많아 보인다. 이 때문에 소상공인들과 일반 소비자들로부터 제로페이가 외면을 받지나 않을까 우려되기도 한다. 부정적인 기사를 요약하면 결제·취소 과정의 불편함, 계좌이체방식이라 은행잔액이 필요한 점, 최근 카드수수료 인하 방침으로 제로페이 효과 저감 등이다.

다만 소상공인 관점에서 도움이 안 되는 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제로페이는 소상공인의 이익을 향상하기 위한 것으로 절대 소상공인이 손해를 보는 일은 없다. 소비자는 다소 불편한 점이 있을 수 있지만, 소득공제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제로페이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과정의 불편이나 은행잔액이 필요한 점은 일반적인 간편결제 방식과 같은 문제로 사용하면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카드수수료 인하 방침은 제로페이가 있어 더 완전한 방침으로 작용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제로페이가 없다면 카드수수료를 그만큼 인하할 동력이 부족하지 않았을까?

2009년 최초로 온누리상품권이 발행되었을 때 분위기를 떠올려 본다. 당시 현금이 아닌 상품권을 가지고 시장에서 장을 보겠냐는 부정적인 기사가 많았으나 현재 전통시장에서는 온누리상품권으로 물건을 구매하는 모습이 일상화됐다. 사전에 준비가 잘된 정책이라도 처음에는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게 마련이고, 초창기에는 정책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기가 힘들다. 꾸준히 시행한 결과 우리의 실생활에 자연스럽게 녹아 일상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제로페이는 지난해 6월 간편결제 서비스 및 기술 피칭대회를 시작한 이후 같은 해 12월 시범서비스가 시작됐고 현재 전국적으로 가맹점 신청을 받고 있어 증가하는 추세다. 소상공인들을 위해 만든 시스템인데, 정작 소상공인분들이 제로페이에 관심을 보이지 않을 때 매우 안타깝다.

우리 경제가 살아나려면 서민경제에 돈이 돌아야 하는데, 밑바탕에는 소상공인들이 있다. 제로페이 활성화로 소상공인들의 주머니가 조금이라도 더 두둑해지는 날이 오기를 소망해 본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