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정책 화해→압박 변경 가능성도···사드 4대 추가배치 지시에 중국 반발

28일 밤 북한의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 미사일 추가 발사로 한반도 안보 상황이 급변하고 있다.

대북 온건파인 문재인 대통령도 이번 도발에 대해 즉각적으로 강경 대응에 나서고 있다.

문 대통령이 이달 초 이른바 ‘베를린 선언’을 통해 대북 화해 메시지와 남북 군사회담과 이산가족상봉을 위한 적십자회담을 제안한 상태다.

문 정부의 대북 정책 중심이 화해에서 압박으로 변경될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다.

문 대통령은 29일 이달 초 북한의 첫 ICBM급 도발 직후 실시했던 한미연합 탄도미사일 발사 훈련이라는 대북 위력행사를 또다시 지시한 데 이어 유엔안보리 이사회 소집을 긴급 요청했다. 독자적 대북제재 방안 검토는 물론 북한 핵·미사일에 대응할 수 있는 우리만의 독자 전력 조기 확보를 서두를 것도 지시했다.

특히 주한미군 기지에 보관 중인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발사대 4기의 추가배치 등 한미 간 전략적 억제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라고도 했다. 이에따라 성주 사드의 추가 배치가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또 북한이 우리의 대북 화해 제스처를 무시하고 잇단 도발을 감행하는 것은 오로지 미국과 ‘담판’ 짓겠다는 것으로 해석되면서 문 대통령의 대북 정책 입지가 좁아질 가능성도 대두되고 있다.

한편 문 대통령이 대북 대응 카드 중 하나로 사드 발사대 4기 추가배치를 지시하자 중국은 즉각적으로 “엄중한 우려”를 언급하며 반발하고 나섰다. 대중관계가 더 악화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제재와 압박의 이면에서도 대화와 협상을 모색하는 ‘투트랙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며 “남북관계는 결국은 대화를 통해 핵·미사일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정모 기자
김정모 기자 kjm@kyongbuk.com

서울취재본부장으로 대통령실, 국회, 정당, 경제계, 중앙부처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