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가 특별한 예가 아닌 ‘보편적 현상’이 되고 있다. 하지만 1인 가구에 대해 일반적인 시각은 ‘불완전’하거나 ‘비정상적’인 가구 형태로 인식되고 있다. 경북은 1인 가구가 매년 증가해 지난해 1인 가구 비중이 18.5%로 20%에 육박한다. 또한 1인 가구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층이 35%를 차지해 고령화의 특징적 가구 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

저출생 고령화가 가속화 하면서 1인 가구는 수적으로 가장 많은 가구 형태가 됐다. 경북은 10가구 중 2가구가 1인 가정이다. 그것도 65세 이상 고령층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이런 점에서 경북도는 물론 각 지자체가 1인 가구 정책 전반을 진단하고 정책 초점을 여기에 맞춰 시행해야 한다.

지난해 경북 전체 233만2612 가구 가운데 1인 가구가 43만969 가구였다. 전년 18% 대비 0.5% 늘어났다. 경북의 1인 가구는 해가 갈수록 증가세가 가파르다. 2018년 35만3702 가구이던 것이 2020년 38만8791가구로 늘었고, 한해 뒤인 2021년 41만6697가구로 40만 가구 선을 넘었다.

지난 2020년 여성가족부의 실태조사에서 1인 가구 전체 응답자의 42.4%가 “균형 잡힌 식사를 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또 가장 필요한 정책 1순위로 ‘주거 안정 지원’(50.1%)을 들었다. 1인 가구 생활자들에게 가장 절실한 것이 ‘식사와 주거’인 것이다. 또 고령층의 혼자 사는 사람들의 제1 관심사는 건강과 의료였다. 경북 농어촌처럼 노인이 많이 사는 지역일수록 건강과 의료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런 점에서 도시지역 청년층 1인 가구와 농어촌의 고령층 1인 가구에 대한 차별화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경북 농어촌 지역 1인 가구 대부분을 차지하는 배우자 사별 때문만이 아닌 미혼과 비혼, 진학과 취업, 이혼 등으로 ‘비자발적 1인 가구’도 늘고 있다. 1인 가구 안에는 성·연령·지역·계층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1인 가구의 형태에 따른 세밀한 분석과 맞춤 정책이 필요한 것이다. 1인 가구가 보편적 가구 형태로 변하고 있는 만큼 단순히 취약한 1인 가구를 지원하는 정책에 그쳐서는 안 된다. 특히 경북은 노인 1인 가구의 돌봄과 복지시스템의 맞춤형 설계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